윈도우10·윈도우11 빠른 지원(Quick Assist)과 원격 데스크톱(RDP) 설정 방법

컴퓨터 문제를 해결할 때 직접 찾아가지 않고도 원격으로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
윈도우10, 윈도우11에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빠른 지원(Quick Assist)’ 기능이 있고,
조금 더 전문적인 환경에서는 ‘원격 데스크톱(Remote Desktop)’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


1. 빠른 지원(Quick Assist) 사용 방법

빠른 지원이란?

빠른 지원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기본 제공하는 간편 원격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기본 내장된 기능만으로 상대방 컴퓨터를 직접 제어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

  1. 시작 메뉴를 엽니다.
  2. 검색창에 “빠른 지원” 또는 **”Quick Assist”**를 입력 후 실행합니다. (윈도우11에서는 ‘빠른 지원’이 새롭게 디자인된 앱으로 제공됩니다.)
  3. 두 가지 옵션이 나옵니다:
    • 다른 사람 도와주기 → 상대방 PC를 원격 제어
    • 도움을 받기 → 내 PC를 다른 사람이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
  4. “다른 사람 도와주기”를 클릭하면 보안 코드가 생성됩니다.
  5. 이 코드를 상대방에게 전달한 후, 상대방이 입력하면 원격 연결이 시작됩니다.

✅ 특징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MS 계정) 로그인 필요
  • 복잡한 포트 설정 불필요
  •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쉽게 사용 가능

2. 원격 데스크톱(Remote Desktop) 설정 방법

원격 데스크톱이란?

원격 데스크톱은 다른 컴퓨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완전히 제어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단, 윈도우10/11 Home 에디션은 기본적으로 원격 접속을 받을 수 없고, Pro 이상의 버전이 필요합니다.

사용 전 준비사항

  • 원격 접속을 받을 컴퓨터는 윈도우 Pro, Enterprise 버전이어야 합니다.
  • 양쪽 컴퓨터 모두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설정 방법

(1)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하기

  1. 시작 > 설정 > 시스템 > 원격 데스크톱으로 이동합니다.
  2.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 스위치를 켭니다.
  3. 원격 연결 허용 및 연결 허용할 사용자(계정)를 확인합니다.

(2)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 공인 IP를 사용하거나, DDNS 설정, 또는 VPN을 통한 내부망 연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포트 포워딩(기본 포트 3389) 설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접속 방법

  1. 접속할 컴퓨터의 IP 주소 또는 컴퓨터 이름을 확인합니다.
  2. 다른 컴퓨터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RDP) 앱 실행
    (시작 → “원격 데스크톱 연결” 검색)
  3. 대상 컴퓨터 주소를 입력하고 접속합니다.

✅ 특징

  •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는 매우 간단하게 연결 가능
  • 외부에서 연결할 경우 보안 설정 주의 필요
  • 다수의 PC를 원격 관리할 때 유용

3. 빠른 지원과 원격 데스크톱 비교

항목빠른 지원 (Quick Assist)원격 데스크톱 (Remote Desktop)
설치 여부필요 없음 (기본 내장)필요 없음 (기본 내장)
MS 계정 필요OX
버전 제한없음 (Home도 가능)Pro 이상 필요
인터넷 연결필수필수 (외부 접속 시 추가 설정 필요)
주요 용도간편한 원격 도움전문적인 원격 관리

마무리

윈도우10, 윈도우11에서는 기본 내장된 기능만으로도
상대방을 도와주거나, 내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 간단하게 빠른 지원(Quick Assist)
  • 조금 더 강력하게 원격 데스크톱(Remote Desktop)

필요에 맞게 선택해서 활용해보세요!
특히 부모님 컴퓨터를 원격으로 도와드릴 때, 재택근무 중 회사 PC에 접속할 때 정말 유용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