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D 조명을 사용하다 보면, 똑같은 형태의 패키지라도 **색상(파장)**에 따라 빛이 퍼지는 각도, 즉 **화각(Beam Angle)**이 미묘하게 다르다는 걸 느끼신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왜 파장에 따라 LED의 화각이 달라지는지, 그 물리적 원리와 기술적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 LED의 화각(Beam Angle)이란?
- 화각이란 LED가 방출하는 빛이 퍼지는 각도를 말합니다.
- 일반적으로 **광속이 중심 밝기의 50% 수준이 되는 지점의 각도(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를 기준으로 정의합니다.
- 화각이 넓으면 확산 조명, 좁으면 스폿 조명 역할을 합니다.

🌈 파장(색)에 따라 화각이 달라지는 이유
1. 굴절률은 파장에 따라 변한다 (색 분산)

- 렌즈나 봉형 광학재료(실리콘, PMMA, 사파이어 등)의 굴절률은 파장이 짧을수록 더 큽니다.
- 이로 인해 짧은 파장의 빛(청색, 자외선)은 더 많이 굴절되고, 긴 파장의 빛(적색, 적외선)은 덜 굴절됩니다.
✔ 같은 구조의 렌즈를 통과해도 파장에 따라 굴절각이 달라짐
→ 결과적으로 LED 발광 화각도 파장에 따라 변화함
2. 파장에 따른 광 추적 경로 차이
- LED 내부의 광원에서 나오는 빛은 반도체 → 봉지재 → 외부 광학계를 통과합니다.
- 이 과정에서 굴절률 변화 + 내부 반사 + 파장 특성이 복합 작용하여 파장별로 최종 발산각이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예시:
- 같은 LED 구조라도 청색(450nm)은 중심 집중형 패턴,
- 적색(630nm)은 더 퍼지는 패턴을 보일 수 있음
🛠 실제 기술 적용 사례
✅ 1. 백색 LED의 색 수차 보정
- 청색 칩 + 형광체 방식에서 파장 분포가 넓음
- 광학 렌즈 설계 시 파장 차이에 따른 초점 및 화각 편차를 보정해야 함
✅ 2. LED 조명 설계 시 렌즈 차별화
- 광학 렌즈 업체들은 파장별 최적 설계 데이터베이스 보유
- 같은 사양이라도 UV LED, 적색 LED는 서로 다른 광학계 적용
✅ 3. ToF, LiDAR, IR 송신부 설계
- 근적외선 LED 사용 시 일반 가시광보다 화각이 더 퍼지는 경향
- 센서 정밀도, 거리 탐지 성능에 영향을 미침 → 보정 필수
📌 기술적 참고 사항
요소 1361_d937c7-ad> |
영향 1361_faff7d-ff> |
---|---|
파장 1361_5771ff-e5> |
파장이 짧을수록 더 많이 굴절됨 (청색 ↑) 1361_447d51-50> |
굴절률(Dispersion) 1361_20f8a6-ff> |
소재별로 파장에 따른 변화폭 다름 1361_aaf6d7-f4> |
형상 1361_28db1a-47> |
동일한 패키지라도 파장에 따라 FWHM 다름 1361_c068d7-27> |
광학렌즈 설계 1361_2cd344-e8> |
Achromatic 설계로 파장 보정 가능 1361_381684-0d> |
💡 정리하자면
질문 1361_f53d84-d5> |
답변 요약 1361_b6798a-0e> |
---|---|
파장에 따라 LED 화각이 달라지나요? 1361_71672c-8f> |
그렇습니다. 광학적 굴절률과 파장 특성 때문에 실제로 다릅니다. 1361_d45bfa-50> |
왜 그런가요? 1361_bac8c2-04> |
파장별로 굴절률이 다르고, 광 추적 경로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1361_74bc38-9c> |
어디에 적용되나요? 1361_852bdd-5e> |
조명, 센서, 디스플레이, UV/IR 광원 등 다양한 기술에서 고려됩니다. 1361_2dbddc-43> |
📝 마무리하며

파장에 따라 LED의 화각이 달라지는 현상은 단순한 “색깔 차이”가 아닌 정확한 광학 설계와 관련된 과학적 원리입니다.
이런 디테일이 쌓여 더 효율적이고 정밀한 광원 설계로 이어지고,
우리 일상 속의 조명, 센서, 디스플레이 품질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