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외주에서 받은 DWG를 열었을 때였습니다. 화면엔 선 몇 개밖에 없는데 저장하니 80MB. 스크롤만 해도 버벅였고, 출력은 자꾸 멈췄습니다. 그날 밤, 선배가 건넨 한마디가 문제를 풀어줬습니다.
“용량은 내용 때문만이 아니라, 찌꺼기 때문이야.”
그날 이후 저는 새 DWG를 받으면 먼저 정리(도면 파일 용량 줄이는 방법)부터 합니다. 오늘은 제가 실무에서 쓰는 DWG 최적화 루틴을, Autodesk 공식 가이드를 근거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각 항목에 근거 출처를 덧붙였습니다.)
✅ 한눈에 보는 요약 루틴
- 불필요한 XREF 분리 → 2) PURGE(다중, Regapps 포함) → 3) OVERKILL로 중복·겹침 제거 →
- AUDIT/RECOVER로 오류 수정 → 5) DGN 관련 찌꺼기 정리(DGN linetype) →
- SCALELIST 초기화 → 7) WBLOCK/ETRANSMIT으로 ‘깨끗한 새 도면’ 저장 →
- 필요 시 3D 솔리드 ACIS 재저장(SAT 왕복)
1) 외부참조(XREF) 정리: 안 쓰면 과감히 끊기
- XREF(외부 참조)가 많이 붙어 있으면 도면이 커지고 느려집니다.
- 불필요한 참조는 XREF 관리자에서 Detach(분리) 하시고, 꼭 필요한 것만 남기세요. Autodesk 공식 문서에서도 가장 먼저 XREF 정리를 권장합니다.
팁: 임시로만 참고했던 이미지(라스터)·PDF 언더레이도 링크를 해제하거나 해상도를 낮춘 버전으로 교체하면 체감이 큽니다.
2) PURGE — 기본 + 고급(숨은 데이터까지 싹)
- 리본 Manage ▶ Purge 또는 명령어 PURGE
- 목록에서 Blocks, Layers, Linetypes 등 사용하지 않는 항목을 모두 제거하세요.
- 꼭 고급 옵션(Zero-length geometry, Empty text object)도 체크합니다.
- 그리고
-PURGE
(하이픈) 로 Regapps까지 한 번 더:-PURGE
→ R(Regapps) → *** (별표)** → N(반복 없음)
Autodesk는 일반 Purge + Regapps 정리를 함께 권장합니다. Regapps(등록 응용프로그램 데이터)는 XREF 왕복 중 “고아 데이터”로 남아 용량을 부풀리는 대표 원인입니다.
3) OVERKILL — 중복·겹침 객체 자동 삭제
- 명령어 OVERKILL(전체 선택: Ctrl+A) → Delete Duplicate Objects 대화상자에서
중복 선/호/폴리선/문자 스타일 정리 옵션을 켭니다. - 중복 선분, 0길이 선, 겹친 호가 정리되면서 파일이 크게 줄어듭니다.
- Autodesk 튜토리얼과 기술문서 모두 OVERKILL의 효과를 명시합니다.
유의: 원본 품질에 따라 100% 제거가 안 될 수 있습니다(좌표 정밀도, 객체 유형 차이 등). 이 경우 선택→OVERKILL처럼 객체 선별 후 단계적 실행이 더 잘 듣습니다.
4) AUDIT / RECOVER — 내부 오류 먼저 잡기
- AUDIT: 도면 열린 상태에서 오류를 찾아 고칩니다.
- RECOVER: 열 때부터 에러 검사 + 복구를 수행합니다.
- Autodesk KB는 PURGE와 함께 AUDIT/RECOVER를 핵심 최적화 절차로 제시합니다.
5) DGN 관련 찌꺼기(특히 Linetype) 제거
Bentley DGN과의 교류 과정에서 DGN linetype 잔재가 남아 도면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는 문제는 유명합니다.
- 증상: 객체는 많지 않은데, 파일이 수십~수백 MB로 커짐.
- 해결: DGN 관련 데이터 정리(버전에 따라 Purge로 해결되거나 전용 툴(DGNPURGE/유틸) 사용).
- Autodesk 자료와 AU 핸드아웃들이 DGN 잔재 정리를 강력히 권장합니다.
참고 앱: Autodesk 스토어의 Drawing Purge 유틸리티는 DGN 등 “고아 데이터”를 일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6) 스케일 리스트(SCALELISTEDIT) 초기화
외부 도면을 많이 합치면 Annotation Scale이 수백 개로 불어날 때가 있습니다.
- 명령어 SCALELISTEDIT → Reset(초기화)
- 불필요한 스케일이 정리되어 도면이 가벼워지고, 주석 관련 오류도 줄어듭니다. (Autodesk 최적화 문서 맥락상 함께 수행 권장)
7) WBLOCK / ETRANSMIT — “깨끗한 새 도면” 만들기
정리해도 용량이 크다면, 깨끗한 새 DWG로 이사가 특효입니다.
- WBLOCK: 필요한 객체만 창으로 선택 저장 → 새 DWG 생성
(숨은 레이어의 찌꺼기, 쓰레기 딕셔너리 등을 두고 필요 데이터만 추출하는 효과) - ETRANSMIT: 외부참조/폰트/CTB를 패키징하면서 바인드·참조 경로 정리 등 옵션을 적용해
깨끗하게 전달 가능한 세트를 만듭니다(자체적으로 Purge/Audit 포함 운영 권장).
8) 3D DWG가 유난히 크다면 — ACIS 왕복(SAT) 정리
3D 솔리드가 얽힌 파일은 ACISOUT → ACISIN(SAT로 내보냈다가 다시 가져오기)로
히스토리·불필요 메타데이터를 덜어 파일 경량화를 노릴 수 있습니다. Autodesk 기술문서에 소개된 대표 절차입니다.
9) 대형 블록·가시성 상태(Visibility States) 점검
가시성 상태가 많은 동적 블록은 도면을 무겁게 합니다.
필요 없는 가시성/파라미터를 정리하면 용량이 크게 줄어든 사례가 다수 보고됩니다.
10) “왜 자꾸 불어난 걸까?” 근본 원인 체크
Autodesk는 갑작스런 용량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 손상된 데이터,
- 비-AutoCAD 앱에서 생성된 DWG,
- 과도한 AEC/프로시 객체(Proxy Objects) 메타데이터
등을 제시합니다. 이 경우 RECOVER, Purge(특히 Regapps), DGN 정리, 새 파일로 이사가 해법입니다.
🧪 실무 적용 예시 루틴(체크리스트)
- XREF 정리: 쓰지 않는 외부참조 Detach. 이미지·PDF는 낮은 해상도로 교체.
- PURGE: 기본 항목 전체 + Zero-length/Empty text 삭제.
-PURGE
Regapps:-PURGE → R → * → N
.- OVERKILL: 전체 선택(Ctrl+A) 후 중복/겹침 제거, 필요 시 영역별 재실행.
- AUDIT/RECOVER: 오류 자동 복구.
- DGN 찌꺼기 제거: Purge 또는 전용 툴(DGNPURGE/유틸).
- SCALELISTEDIT Reset: 불어난 주석 스케일 초기화.
- WBLOCK: 필요한 객체만 새 파일로 추출 저장.
- 3D면 ACIS 왕복(필요 시): ACISOUT/ACISIN으로 솔리드 정리.
- 최종 저장/전달은 ETRANSMIT: 의존성 깨끗이 정리된 패키지.
🧠 자주 묻는 질문(FAQ)
Q1. PURGE만으로 충분한가요?
A. 보통은 Regapps와 DGN 데이터가 남아 있어 -PURGE R
+ DGN 정리를 추가해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 WBLOCK 이사가 가장 확실합니다.
Q2. OVERKILL이 중복을 다 못 지워요.
A. 좌표 오차·객체 유형 문제일 수 있습니다. 객체 선별 후(사각창, 레이어별) 반복 실행을 권장합니다.
Q3. 3D 파일만 유난히 커요.
A. ACIS 왕복(SAT) 으로 메타데이터를 덜어내 보세요. 경우에 따라 수십 % 줄어듭니다.
✍️ 마무리
DWG의 용량은 단순히 “그림”의 문제가 아니라, 데이터 위생(Data Hygiene) 의 문제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루틴을 템플릿처럼 적용하시면, 새로 받은 파일도 **몇 분 내에 “가벼운 상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열기 전에 먼저 정리한다.”
이 습관이 전체 프로젝트 속도를 바꿉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