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감 하루 전, AutoCAD가 멈췄다 — 그날 이후 제가 찾은 속도 개선의 모든 것
며칠 전, 마감 하루 전날 밤이었습니다.
클라이언트에게 도면을 전달해야 하는 중요한 날이었는데, AutoCAD가 갑자기 버벅거리기 시작했습니다.
커서는 느리게 움직이고, 화면은 깜빡이며 결국 강제 종료를 반복해야 했죠.
그날 이후 결심했습니다.
“이젠 이런 상황이 다시 오지 않게, AutoCAD를 완벽히 최적화해보자.”
그렇게 해서 오늘은 제가 직접 경험하며 정리한 AutoCAD 속도 개선 팁과
최신 버전(2025 기준)에서도 유효한 최적화 설정 방법을 하나로 모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 왜 AutoCAD는 점점 느려질까?
AutoCAD가 느려지는 원인은 한 가지가 아닙니다.
크게 다음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분 | 주요 원인 | 영향 |
---|---|---|
도면 내부 구조 | 과도한 블록, XREF, 복잡한 해치(HATCH), 중복 객체 등 | 화면 갱신 및 선택 지연 |
그래픽 및 시스템 자원 | 드라이버 불일치, 하드웨어 가속 비활성, 낮은 VRAM | 줌/팬 시 끊김 및 그래픽 오류 |
저장 매체 및 네트워크 | 느린 디스크 I/O, NAS 저장, 맵핑 오류 | 파일 열기·저장 지연 |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래픽 설정, 시스템 환경, 도면 관리를 함께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AutoCAD 속도를 높이는 최신 설정 가이드
1. 그래픽 및 하드웨어 설정
- 하드웨어 가속 확인 (GRAPHICSCONFIG 명령어)
하드웨어 가속이 꺼져 있다면 반드시 켜주시기 바랍니다.
단, 구형 그래픽카드나 비인증 드라이버에서는 비활성화하는 것이 더 안정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 줌/팬 애니메이션 끄기 (VTENABLE = 0)
화면 이동 애니메이션을 비활성화하면 리소스 사용량이 줄어듭니다. - 선택 미리보기 비활성화 (SELECTIONPREVIEW = 2 또는 0)
커서가 객체 위를 지날 때 강조 표시되는 기능을 끄면 대형 도면 작업 시 반응 속도가 향상됩니다. - 레이아웃 리젠 최소화 (LAYOUTREGENCTL = 0)
탭 전환 시 매번 전체 도면을 다시 로드하지 않도록 하여 메모리 부담을 줄입니다. - DirectX 설정 조정 (GFXDX12 = 0)
그래픽 오류나 프레임 저하가 있다면 DirectX 12를 비활성화하여 DirectX 11로 전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커서 배지 제거 (CURSORBADGE = 1)
명령 실행 시 커서 옆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비활성화하면 그래픽 부담이 감소합니다. - 동적 입력 비활성화 (DYNMODE = 0)
명령어 입력 시 표시되는 실시간 안내창을 끄면 입력 반응이 빨라집니다.
2. 캐시, 메모리, 멀티코어 활용
- 캐시 용량 조정 (CACHEMAXFILES / CACHEMAXTOTALSIZE)
AutoCAD는 최근 사용 도면을 캐시에 저장해 재로딩 속도를 높입니다.CACHEMAXFILES
: 캐시 파일 수 (권장값 512~2048)CACHEMAXTOTALSIZE
: 캐시 용량 (권장 5~10GB 수준)
- 멀티코어 활용 설정 (WHIPTHREAD = 3)
리젠(regen)과 리드로우(redraw) 연산을 멀티코어로 분산 처리하여 속도를 높입니다. - 메모리 여유 확보
C 드라이브의 여유 공간은 최소 10% 이상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AutoCAD는 자체 캐시를 사용하기 때문에 시스템 메모리와 디스크 여유 공간이 매우 중요합니다.
3. 도면 내부 정리 및 클린업
- AUDIT / PURGE / -PURGE / OVERKILL 활용
AUDIT
: 도면 오류 검사 및 복구PURGE
: 불필요한 블록, 스타일, 응용데이터 제거-PURGE
: 등록 애플리케이션까지 완전 정리OVERKILL
: 중복 선·객체 제거
- 외부참조(XREF) 정리
불필요한 XREF는 Detach 하거나 Overlay로 변경하세요.
또한 네트워크 경로보다 로컬 경로를 사용하면 파일 로드 속도가 훨씬 빨라집니다. - WIPEOUT·복잡한 해치 최소화
불필요한 WIPEOUT 객체나 고해상도 해치는 가급적 줄이거나 별도의 레이어로 분리하여 사용하세요. - BLOCKMRULIST = 0 설정
최근 사용 블록 목록을 비워두면 블록 팔레트 로딩 속도가 향상됩니다. - 레이어 정리 및 필터 활용
레이어가 너무 많으면 리스트 렌더링만으로도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필요 없는 레이어는 숨기거나 필터를 사용해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시스템 및 OS 환경 최적화
- 전원 옵션을 ‘고성능 모드’로 변경
Windows 기본 설정은 절전 모드로 되어 있어 CPU 성능이 제한됩니다.
고성능 모드로 전환하면 전체적인 반응 속도가 빨라집니다. -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최소화
보안 프로그램, 클라우드 동기화 앱 등이 AutoCAD 실행 폴더를 실시간 감시하면 성능 저하가 발생합니다.
AutoCAD 관련 폴더를 예외 목록에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불필요한 부가기능 제거
사용하지 않는 애드온이나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하면 프로그램 실행과 종료 속도가 개선됩니다. - 정기적인 유지관리
임시 파일 삭제, 디스크 조각 모음, 클린업 도구를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시스템 리소스를 확보하세요.
🧩 AutoCAD 성능 개선 추천 설정 요약
항목 | 권장 설정 | 비고 |
---|---|---|
GRAPHICSCONFIG | 하드웨어 가속 ON (필요 시 OFF) | 그래픽카드 호환성 확인 필요 |
VTENABLE | 0 | 줌/팬 애니메이션 끄기 |
SELECTIONPREVIEW | 2 또는 0 | 객체 미리보기 비활성화 |
LAYOUTREGENCTL | 0 | 레이아웃 리젠 최소화 |
GFXDX12 | 0 | DirectX 11로 전환 |
CURSORBADGE | 1 | 커서 배지 제거 |
DYNMODE | 0 | 동적 입력 비활성화 |
CACHEMAXFILES | 512~2048 | 캐시 파일 수 조정 |
CACHEMAXTOTALSIZE | 약 5~10GB | 캐시 용량 조정 |
WHIPTHREAD | 3 | 멀티코어 사용 |
AUDIT / PURGE / OVERKILL | 정기 실행 | 도면 내부 정리 |
전원 설정 | 고성능 모드 | CPU 성능 최대화 |
불필요한 앱 | 종료 및 예외 설정 | 백그라운드 리소스 최소화 |
⚙️ 설정은 한 번에 모두 변경하기보다는,
한 항목씩 적용 후 반응 속도를 비교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최적 조합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 마무리하며
AutoCAD는 설계 툴이지만 동시에 그래픽 엔진과 시스템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는 복합 프로그램입니다.
작업 환경에 맞게 세팅만 잘 조정해도 속도는 눈에 띄게 개선됩니다.
저 역시 마감 직전의 버벅임을 경험한 이후,
지금은 위의 설정 조합으로 쾌적하게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할 때 과감히 초기화·정리하는 습관을 들이신다면
AutoCAD는 언제나 빠르고 안정적인 도구가 되어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