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PC 한 대로 시작한 나의 서버 구축기
얼마 전, 직접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내 서버에서 운영해보고 싶어서
작은 미니PC를 하나 구입했습니다.
“호스팅을 빌리지 않고, 진짜 내 서버를 직접 운영해보면 어떨까?”
그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도전이었어요.
처음엔 막막했죠.
우분투를 설치하고, 네트워크 설정하고, 도메인을 연결하고,
아파치랑 MySQL, PHP 세팅까지…
손으로 하나하나 입력하면서
터미널 앞에서 몇 번이나 좌절했어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명령어 하나하나를 입력할 때마다
‘이 시스템이 어떻게 움직이는지’가 점점 보이기 시작하더라고요.
“아, 이게 진짜 서버를 다루는 거구나.”
이 글은 제가 미니PC를 세팅하면서 실제로 사용했던
가장 기초적이고, 꼭 알아야 할 리눅스 터미널 명령어들을 정리한 기록이에요.
만약 당신도 지금,
“내 서버를 직접 만들어보고 싶다”거나
“우분투를 처음 써보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모르겠다”
싶다면,
이 글이 분명 도움이 될 겁니다.
🧭 1. 터미널이란?
리눅스(우분투)의 터미널은
**‘명령어로 컴퓨터에게 직접 지시하는 창구’**입니다.
마우스로 클릭하는 대신,
명령어 한 줄로 모든 걸 조작할 수 있는 개발자들의 언어죠.
예를 들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
ls
현재 폴더 안에 있는 파일 목록을 보여줍니다.
리눅스에서는 이렇게 한 줄의 명령으로 모든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2. 자주 쓰는 기본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예시 |
---|---|---|
pwd | 현재 경로 확인 | /home/user |
ls | 파일 목록 보기 | ls -al (숨김파일까지 자세히) |
cd | 폴더 이동 | cd /var/www/html |
mkdir | 새 폴더 만들기 | mkdir test |
rm | 파일 삭제 | rm file.txt |
rm -r | 폴더 삭제 | rm -r old_folder |
cp | 파일 복사 | cp a.txt b.txt |
mv | 이동 또는 이름 변경 | mv a.txt new_a.txt |
cat | 파일 내용 보기 | cat index.html |
nano | 간단한 텍스트 편집기 | nano wp-config.php |
⚙️ 3. 시스템 관리 기본 명령
명령어 | 설명 | 예시 |
---|---|---|
sudo | 관리자 권한 실행 | sudo apt update |
apt update |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 |
apt upgrade | 시스템 업데이트 | sudo apt upgrade -y |
systemctl status 서비스명 | 서비스 상태 확인 | systemctl status apache2 |
systemctl restart 서비스명 | 서비스 재시작 | sudo systemctl restart mysql |
reboot | 재부팅 | sudo reboot |
shutdown -h now | 시스템 종료 | sudo shutdown -h now |
💾 4. 파일 시스템 구조 이해하기
리눅스의 폴더 구조는 이렇게 생겼어요 👇
/
├── bin → 기본 명령어
├── etc → 설정 파일
├── home → 사용자 홈폴더
│ └── gangho-server
├── var → 로그, 웹사이트 등
│ └── www/html
└── tmp → 임시 파일
/home
→ 사용자 개인 공간/var/www/html
→ 웹사이트 루트 디렉터리
🧰 5. 서버 관리할 때 꼭 쓰는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
df -h | 디스크 용량 확인 |
top | 실시간 CPU/메모리 모니터링 |
free -h | 메모리 사용량 확인 |
uptime | 서버 가동 시간 확인 |
tail -f /var/log/apache2/error.log | 실시간 로그 보기 |
🧱 6. 권한과 소유권
ls -l
결과 예시:
-rw-r--r-- 1 www-data www-data 1234 Oct 12 index.php
r
= 읽기(Read)w
= 쓰기(Write)x
= 실행(Execute)
변경 명령 예시:
sudo chown -R www-data:www-data /var/www/html
sudo chmod 755 /var/www/html
🌐 7.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
ping 8.8.8.8 | 인터넷 연결 테스트 |
curl -I https://steelcrucian.com | HTTP 응답 확인 |
ss -tln | 열려 있는 포트 보기 |
`netstat -an | grep 80` |
🧩 8. 단축키 & 편의기능
단축키 | 기능 |
---|---|
Tab | 자동완성 |
Ctrl + C | 실행 중지 |
Ctrl + L | 화면 클리어 |
!! | 직전 명령어 재실행 |
📜 9. 로그 확인
sudo tail -n 30 /var/log/apache2/error.log
sudo tail -n 30 /var/log/mysql/error.log
서버 오류가 날 때 제일 먼저 확인해야 할 위치예요.
🚀 10. 실전 예시
워드프레스 서버를 관리하면서 가장 자주 쓰는 명령어 조합 👇
cd /var/www/html
sudo nano index.php
sudo systemctl restart apache2
sudo tail -f /var/log/apache2/access.log
이 네 줄만 알아도
사이트 수정 → 저장 → 서버 재시작 → 로그 확인까지
완벽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미니PC 서버를 직접 운영하면서 느낀 건,
리눅스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는 거예요.
명령어 몇 줄만 익숙해지면,
이제 “내가 서버를 다룬다”는 자신감이 생깁니다.
기억하세요.
터미널은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서버를 내 손에 쥐게 해주는 가장 직접적인 도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