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속발산도란? 광학 기초 개념 한 걸음 더!

지난 포스팅에서는 광속, 광도, 조도, 휘도의 개념을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광속발산도(Luminous Exitance)’**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

조금 생소할 수 있는 용어지만, 이해하고 나면 **빛이 어떻게 ‘표면에서 나가는가’**에 대한 감을 잡을 수 있어요.


🌟 광속발산도(Luminous Exitance)란?

  • 단위: 루멘/㎡ (lm/㎡)
  • 정의: 단위 면적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속(빛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 즉: 어떤 표면이 스스로 빛을 내보내는 정도를 숫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기

  • 전구 표면이나 LED 패널처럼 빛을 내보내는 면이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 이 면적이 클수록 같은 밝기라도 넓게 퍼지며, 좁으면 한 곳으로 집중됩니다.
  • 광속발산도는 이 면적 대비 얼마나 많은 빛을 발산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LED 조명 패널 두 개가 같은 총 광속(루멘)을 내더라도,
면적이 넓은 쪽이 광속발산도는 낮고 면적이 좁은 쪽이 광속발산도는 높습니다.


💡 광속발산도 vs. 휘도 차이점은?

구분광속발산도휘도
단위루멘/㎡ (lm/㎡)칸델라/㎡ (cd/㎡)
방향성없음 (전체 광속 기준)있음 (관찰자 방향에 따라 밝기 달라짐)
관찰자 입장관찰자 기준이 아님관찰자 시점에서 보이는 밝기
관련 예시LED 패널이 내보내는 전체 빛TV 화면을 보는 우리가 느끼는 밝기

정리하자면:
광속발산도는 “빛을 얼마나 내보내는가?”
휘도는 “그 빛이 관찰자 눈에 얼마나 밝게 보이는가?” 입니다.


✅ 실무에서 어떻게 쓰이나요?

  • 조명 설계 시 발산 효율을 평가할 때
  •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밝기 조절 및 전력 효율 분석 시
  • 건축 조명, 자동차 조명 등에서 효율적인 조명 배치 계획 수립

📌 요약 정리

개념단위의미
광속발산도루멘/㎡면적당 나가는 전체 빛의 양
휘도칸델라/㎡특정 방향에서 보이는 밝기 정도

📎 마무리하며

광학에서 빛을 내는 것빛을 보는 것은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광속발산도는 그중에서도 ‘내보내는 쪽’을 측정하는 지표예요. 앞으로 조명 기기나 디스플레이 사양을 볼 때, 이 용어가 나온다면 “아! 광속발산도구나!” 하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Leave a Comment

22 − = 16
Powered by MathCaptcha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