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광학기초

입체각의 개념부터 계산법, 시뮬레이션까지(Solid Angle)

몇 년 전 처음 광학 관련 프로젝트를 맡았을 때, 저는 ‘각도(angle)’라는 단어를 너무 가볍게 생각했었습니다. 처음에는 각도와 입체각의 개념을 혼동하며 사용하였습니다.렌즈의 시야각(FOV), 조명의 조사각(beam angle), 센서의 감지 범위—all 그저 ‘몇 도(°)’라는 숫자로만 인식했죠. 그런데 막상 조명 시뮬레이션을 하다 보니, 단순한 평면 각도로는 공간상의 빛의 분포나 시야 범위를 제대로 표현할 수 없다는 걸 깨달았습니다.이때 처음 마주한 개념이 바로 **입체각(Solid Angle)**이었습니다. 🧭 입체각(Solid Angle)이란? 우리가 평소 사용하는 각도는 대부분 2차원 평면상의 **평면각(Planar Angle)**입니다.예를 들어, 시계의 바늘이 이루는 각도나 삼각형의 내각, 카메라의 수평…

🌈 빛의 파장에 따라 속도가 달라진다고요? – 빛과 색의 신비한 이야기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햇빛이 유리컵에 비치면서, 바닥에 은은한 무지개 무늬가 생긴 적.그걸 보며 “빛이 그냥 투명한 유리를 통과했을 뿐인데, 왜 색깔이 나뉘지?”하고 신기하게 느껴본 적 말이죠. 사실 이건 단순히 ‘빛이 예쁘게 반사된 현상’이 아니라,빛의 속도와 파장에 관한 과학적인 이유가 숨어 있습니다.오늘은 “빛은 진공에서만 빠르다”는 말의 진짜 의미와,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색의 세계가 왜 생기는지를조금 더 쉽게 풀어볼게요. ☀️ 진공에서는 빛의 속도는 ‘절대값’ 먼저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부터 짚고 갈게요.빛의 속도는 진공에서 299,792,458m/s,즉 초속 약 30만 km입니다.지구를 1초에 7바퀴 반 도는 속도죠.이건…

왜 거울에서 내 얼굴은 저렇게 보일까? – 거울 속 반사의 과학

아침에 일어나 세수를 하고, 거울을 보며 오늘의 얼굴을 확인합니다. 그런데 가끔 문득 드는 생각… “왜 거울 속의 나는 실제 사진이나 셀카와 다르게 느껴질까?” 이 질문, 단순한 감정 문제일까요? 아닙니다. 빛의 반사와 기하광학의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 1. 거울 속 얼굴은 ‘반전된 나’ 우리가 거울을 보면, 좌우가 뒤집힌 모습을 마주하게 됩니다.이를 흔히 “거울이 좌우를 바꿔서 보여준다”고 착각하는데, 사실은… 거울은 ‘좌우 반전’이 아니라 ‘앞뒤 반전’을 시킵니다. 📌 무슨 뜻일까요? 📐 2. 반사의 법칙이 만든 ‘거울의 세계’ 기하광학에서 말하는 반사의 법칙은 매우 간단합니다….

광학 기초 개념 정리: 광속, 광도, 조도, 휘도 한 번에 이해하기

조명을 공부하거나, 카메라를 다루거나, 혹은 시각 디자인과 관련된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광속, 광도, 조도, 휘도입니다.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지만, 각각의 의미는 분명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 햇갈리는 4가지 정의에 대해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1. 광속(Luminous Flux) – 빛의 총량 💡쉽게 말하면: “이 전구에서 나오는 빛이 얼마나 많은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2. 광도(Luminous Intensity) – 한 방향으로 나가는 밝기 💡쉽게 말하면: “빛이 한 방향으로 얼마나 세게 쏘아지는가?” 3. 조도(Illuminance) – 비춰진 면의 밝기 💡쉽게 말하면: “빛을…